본문 바로가기
[ISTQB]

[ISTQB CTFL]Syllabus #3장 오답노트

by DDBobD 2022. 11. 22.
728x90
반응형

3.2.3 리뷰 유형의 차이

  • 비공식리뷰
    • 공식적 절차가 없음
    • 페어 프로그래밍 리뷰 또는 기술 선임자의 설계와 코드리뷰
    • 선택적 문서화
    • 리뷰하는 사람에 따라 성과가 좌우
    • 저렴한 방법으로 일정 수준의 성과 달성
  • 기술적리뷰
    • 동료와 기술 전문가 참여
    • 결함 발견을 위한 문서화되고 정의된 프로세스 존재
    • 관리자 개입이 없는 동료 검토 형태
    • 중재자 미팅주도
    • 미팅 사전준비 단계 필요
    • 선택적으로, 체크리스트, 리뷰리포트, 발견한 인시던트 리스트, 관리자 참여 활용
    • 공식적 또는 비공식정
    • 일관되고 정략적인 효과 도출 가능
    • 기술적 문제 해결, 토론, 의사결정, 대안평가, 결함발견, 명세서 또는 표준과의 접합성 검토
  • 워크쓰루
    • 저자에의한 진행 및 제어
    • 시나리오 사용, 예행연습, 동료그룹 검토
    • 선택적으로 미팅전 준비과정 거침(검토자 지정, 리뷰리포트 준비, 인시던트리스트 준비, 기록자 지정)
    • 공식적 또는 비공식정
  • 인스펙션
    • 훈련된 중재자에 의한 진행 및 제어
    • 역할이 지정되어 있음
    • 동료 검사
    • 메트릭을 수집하고 활용
    • 체크리스트와 규칙을 기반으로 시작과 종료조건이 있는 정식프로세스 존재
    • 준비과정 필요
    • 리포트와 발견사항 리스트 산출
    • 후속처리 확인 프로세스 존재
    • 선택적으로 리뷰프로세스 개선 활동 수행
    • 결함발견

3.2.4 작업 산출물에 리뷰기법을 적용해 결함 식별

  • 애드혹
    • 검토자에게 리뷰 수행방법 안내가 제공되지 않음
    • 검토자는 작업산출물에서 이슈를 식별하고 기록함
    • 특별한 준비 없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
    • 검토자의 능력에 의존
    • 여러 검토자가 동일한 문제를 보고할 수 있음
  • 체크리스트기반
    • 체계적인 기법
    • 검토자는 리뷰시작 시점에 배표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이슈를 식별
    • 잠재결함을 식별하기 위해 경험에어 도출한 일련의 질문으로 구성
    • 리뷰 대상 산출물을 유형별로 작성, 누락된 이슈유형을 다루기 위해 주기적으로 개선
    • 일반적인 결함유형에 대한 체계적인 커버리지를 갖음
    • 검토자는 실행, 체크리스트로 식별할 수 없는 결함을 찾기 위해 노력
  • 시나리오 및 드라이런
    • 어떻게 검토할지에 대한 구조화된 지침을 제공 받음
    • 작업산추룰의 예상되는 용도를 기반으로 작업 산출물에 대해 드라이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검토자를 지원
  • 관점기반
    •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사용(최종사용자, 영업, 설계자, 테스터, 운영자 등)
    • 검토자간 중복이슈 감소
  • 역할기반
    • 이해관계자 역할의 관점에서 평가(경험이 많은, 경험이 적은, 노인, 아동, 사용자, 관리자, 시스템관리자, 성능테스터 등)

 

728x90
반응형